3년째 세브란스병원을 심장내과, 소화기내과, 신경외과, 신경과, 비뇨기과 등으로
외래, 입원 등으로 방문하다보니 귀에 들리는 생소한 단어들이 궁금해져서 검색해보고 정리해봅니다!
내가 아는 의학용어 모음집
- 코드블루 (Code Blue) : 환자의 심정지로 인해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
- 코드 옐로우 (Code Yellow) : 환자가 행방불명인 경우를 의미
- 코드 그린 (Code Green) : 긴급대피명령이 발동된 경우를 의미
- 코드 그레이 (Code Gray) : 병원 내 범죄자 등의 위험인물이 나타난 경우를 의미
- 뎁트 (Dept) : 과 (ex. 신경과, 심장내과, 비뇨기과 등)
- 앤피오 (NPO) : 금식
- 홀드 (Hold) : 중단되어 연기
- 포지티브 (Positive +) : 양성반응으로 이상이 있다는 의미
- 네거티브 (Negative -) : 음성반응으로 이상이 없다는 의미 (혈액, 소변 검사 때 유용하게 이해했음)
- 이엠알 (EMR) : 전자차트, 전자의무기록
- 멜레나 (Melena) : 혈변
- 헤모로이드 (Hemorrhoid) : 치질
- 다이에라 (Diarrhea) : 설사
- 유린 (Urine) : 소변
- 유티아이 (UTI) : 요로감염
- 헤마츄리아 (Hematuria) : 혈뇨
- 피버 (Fever) : 고열
- 페인 (Pain) : 통증
- 헤드에이크 (Headache) : 두통
- 디하이드레이션 (Dehydration) : 탈수
- 이데마 (Edema) : 부종
- 인펙션 (Infection) : 감염
- 어브레이션 (Abrasion) : 찰과상
- 디스텐션 (Distension) : 팽창
- 콘타 (Contamination) : 오염
- 디지니스 (Dizziness) : 어지러움
- 아스피레이션 (Aspiration) : 흡인
- 씨콥 (Syncope) : 실신
- 어큐트 (Acute) : 급성
- 크로닉 (Chronic) : 만성
- 컨퓨전 (Confusion) : 정신상태 혼동(란)
- 시져 (Seizure) : 발작
- 가와사키 (Kawasaki) : 급성 전신성 혈관염 (어릴 적 오랜시간 고생하게 만든 질병..)
- 플루이드 (Fluid) : 수액
- 안티 (Anti) : 항생제
- 리도카인 (lidocaine) : 국소마취제
- 모르핀 (Morphine) : 마약성 진통제
- 니트로글리세린 (NTG) : 혈관확장제 (협심증 또는 심장 또는 혈관이 좁은 환자 중 들고다니는 분이 많고,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갈색병에 넣어진 상태로 가지고 있어야하는 약입니다. 이 약으로 인해 혈관이 강제로 확장되면 두통이 따를 수 있는 점 참고! 먹고 3분만에 깨질 것 같은 두통때문에 고생함..)
더 알게되는 단어가 생기면 아래에 추가하겠습니다 :)
'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' 라는 말이 있듯이 병원을 오래 다니다보니 전공자가 아니지만 들리는 단어들을 알게되는 그런 부분이 있네요 ㅎㅎ.. 그저께는 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잘 이해하는 걸 보고 의료인이시냐는 질문을 받아서 살짝 당황했습니다
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!
댓글